아서 F. 글라서는 평생 선교에 헌신하여 선교사, 선교행정가, 선교학 교수 등으로 활동한 탁월한 선교신학자다. 『하나님 나라 선교신학과 이스라엘』의 저자 한미정은 아서 글라서의 생애와 저술을 선교학적 해석학의 관점으로 분석 비평함으로써, 글라서가 성경 전체를 통해 드러내고 있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이스라엘이 차지하는 위치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부각한다. 아서 글라서가 소유한 이 이스라엘 회복 관점은 성경 전체가 선포하는 하나님 나라의 완성과 연결된다는 점을 논리와 감동을 통해 인정하게 한다.
추천사 1 찰스 밴 엥겐 박사︱풀러신학대학원 아서글라서 석좌교수
추천사 2 이상명 박사︱캘리포니아프레스티지대학교 총장
추천사 3 임성진 박사︱월드미션대학교 총장
추천사 4 임윤택 박사︱캘리포니아프레스티지대학교 선교학 박사원 원장
추천사 5 김인식 박사︱킹덤월드미션 대표
추천사 6 김용식 박사︱캘리포니아프레스티지대학교 선교학 박사원 부원장
추천사 7 정용암 박사︱캘리포니아프레스티지대학교 선교학 박사원 교수
추천사 8 정호진 박사︱한국이스라엘친선협회 수석부회장
추천사 9 김충렬 박사︱영세교회 원로목사, (전) 장신대학교 성지연구원 이사장
추천사 10 미치 글레이저 박사︱Chosen People Ministries 대표
추천사 11 데이비드 세다카 박사︱Chosen People Ministries 부대표
추천사 12 이갈 게르만 박사︱시카고 무디성경대학원 구약학 교수
추천사 13 가이 코헨 박사︱이스라엘 악고 아셀추수교회 담임목사
그림 목록
표 목록
약어 목록
감사의 말
개요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논지 진술
3. 연구 목적
4. 연구 목표
5. 연구의 중요성
6. 연구의 핵심 주제
7. 연구 질문
8. 연구의 범위와 한계
9. 용어의 정의
10. 연구의 가정
11. 연구 방법론
12. 연구의 개관
13. 요약
제2장 선행 연구 고찰
1. 아서 글라서의 생애와 사역
2. 아서 글라서의 저술
3. 아서 글라서의 선교학적 해석학
4. 아서 글라서의 이스라엘 회복 관점
5. 요약
제3장 아서 글라서의 생애와 사역
1. 생애 개요
2. 하나님 나라 신학 형성을 위한 주권적 토대(1914-1931)
3. 하나님 나라 신학 실천을 위한 인성 개발(1932-1941)
4. 하나님 나라 본질을 향한 삶과 사역의 성숙(1942-1988)
5. 하나님 나라와 이스라엘 회복 신학의 수렴(1988-1998)
6. 하나님 나라와 이스라엘 회복 신학의 잔광(1999-2009)
7. 요약
제4장 아서 글라서의 선교학적 해석학 이해
1. 선교학적 해석학 이해
2. 선교적 성경 해석의 발전 과정
3. 선교적 성경 해석의 특징
4. 아서 글라서의 선교적 성경 해석의 특징
5. 이스라엘 회복 관점의 선교학적 해석학
6. 요약
제5장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의 선교학적 해석학
1. “보편적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2. “특수한 역사”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선교
3. “보편적 새역사”에 나타난 성령의 선교
4. 정경의 세 구분을 통한 아서 글라서의 선교학적 해석학
5. 요약
제6장 아서 글라서의 이스라엘 회복 관점과 하나님 나라 완성
1. 아서 글라서의 저술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비중
2. 아서 글라서의 이스라엘 회복 관점의 선교신학화
3. 이스라엘의 회복과 하나님 나라의 완성
4. 요약
제7장 결론
1. 요약
2. 결론
3. 제언
참고 문헌
이 책의 탁월함은 하나님 나라에서 이스라엘 회복 관점이 가지는 선교적 사명을 강하게 고취시켜 주는 데 있습니다.
찰스 밴 엥겐 박사
풀러신학대학원 아서글라서 석좌교수
보다 포괄적이고 통전적인 선교신학과 이스라엘 회복 관점으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이해 하려는 독자들을 위한 탁월한 길라잡이가 될 것이라 여겨 이 책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이 상 명 박사
캘리포니아프레스티지대학교(CPU) 총장
글라서 박사의 학문적 작업은 … 성경에 예언된 이스라엘의 회복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했습니다. 이 책은 하나님의 예언적 메시지에 관심 있는 모든 이에게 필독서입니다.
데이비드 세다카 박사
Chosen People Ministries 부대표
선교신학자인 아서 글라서의 철저한 성경 해석을 바탕으로 하나님의 나라와 이스라엘의 역할을 선명하게 드러내며,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통찰을 선사합니다.
임 윤 택 박사
CPU 선교학 박사원 원장
이 책은 글라서 박사가 이스라엘의 구원뿐 아니라 이스라엘의 회복을 확신하여 회복된 이스라엘과 이방인이 하나 된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기대하였다는 통찰을 보여줍니다.
김 인 식 박사
킹덤월드미션 대표
온 이스라엘의 구원과 회복신학으로 재건하고, 좌우로 치우친 이스라엘 회복 운동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추 역할을 하도록, 주님께서 귀히 사용하시리라 확신합니다.
김 충 렬 박사
영세교회 원로목사
하나님 나라의 선교를 완성해 가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통전적으로 헤아리기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 필독을 권합니다.
임 성 진 박사
월드미션대학교 총장
그리스도 안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이 한새사람, 한 신부를 이루어, 곧 오실 신랑 예수님을 맞이해야 하는 시대에 … 유대인 회복의 실상을 더욱 분명하게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 호 진 박사
한국이스라엘친선협회 수석부회장
이제부터 누가 아서 글라서 박사에 관해서 묻는다면 저는 조금도 주저함 없이 이 책을 주겠습니다.
김 용 식 박사
CPU 선교학 박사원 부원장
저자가 제공하는 핵심 통찰력 중 하나는 이스라엘의 회복이 하나님의 선교를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입니다.
정 용 암 박사
CPU 선교학 박사원 교수
그녀의 노력이 21세기 교회에 글라서 박사의 탁월한 가르침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성찰을 가져다 줄 것이라 확신합니다.
미치 글레이저 박사
Chosen People Ministries 대표
탈대체신학을 발전시키는 이 책은 신학자, 선교학자, 메시아닉 유대인 학자에게 깊이 있는 성찰과 후속 연구의 영감을 제공합니다.
이갈 게르만 박사
시카고 무디성경대학원 구약학 교수
저자의 글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이스라엘을 대체신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 나는 새로운 이해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가이 코헨 박사
이스라엘 악고 아셀추수교회 담임목사
선교신학 분야에서 글라서의 가장 큰 공헌 중 하나는 “선교학을 든든한 말씀 위에 세우는 역할을 감당”했다는 점이다. 그가 제시한 ‘하나님 나라’ 패러다임에서 “성경은 신구약 전체가 하나님의 계획과 인간 역사 가운데 행하신 하나님의 선교에 관한 기록이다. 성경은 선교적인 책이며, 선교적인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은 선교하는 하나님이시다.”_217p
아서 글라서는 성경 전체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관점을 제공”하되 하나님 나라의 개념 안에 “구약과 신약, 유대인과 이방인, 신학과 선교”를 함께 아우른다. 그 과정에서 그는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선교 계획에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지속해서 드러내 준다. 아울러 그 하나님 나라에는 이스라엘과 함께 “모든 민족이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준다.”_237p.
“수단의 특정성”과 “목표의 보편성”이라는 원리로 볼 때, 대체신학은 보편성에 치우친 오류, 이중 언약 신학은 특정성에 치우친 오류라 할 수 있다. 보편성에 치우쳐 이스라엘이라는 특정한 수단의 가치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특정성에 치우쳐 온 인류 구원이라는 보편적인 목표의 가치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선택하여 그와 그의 후손과 언약을 맺으실 그때부터 특정된 그들을 통해 각 족속과 백성과 방언과 나라에서 인류를 구원하실 꿈을 품고 계셨다. 수단이 특정되던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에서 보편적으로 성취될 목표를 꿈꾸고 계셨다._258p.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이 완성하기 원하셨던 회복된 이스라엘의 모델이다. 선교적 사명에 실패한 이스라엘의 사명을 예수 그리스도가 완성하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스라엘의 운명을 대신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연약함을 대신 지고 부활로 그들의 사명을 회복하셨다. 실패한 이스라엘을, 그 이스라엘의 씨요, 뿌리요, 가지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친히 온전케 하셨다. 예수 그리스도가 소멸되지 않는 한 이스라엘도 소멸되지 않는다. 예수 그리스도는 새 하늘 새 땅에서도 어린양으로서 이스라엘과 함께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 이것이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되는 이스라엘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특수한 역사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_288p.
아서 글라서의 선교학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성삼위 하나님의 선교에 온전히 뿌리내리고 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결국 온 인류를 <한새사람>으로 만들기 위한 사역이다. 성부, 성자, 성령이 하나이듯 그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유대인이나 헬라인 모두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게 하는 것이 선교다. 그러므로 아서 글라서가 이해하는 하나님 선교의 완성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한새사람 선교>라고 할 수 있다._335-336p.
온 인류를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선교 계획 안에서 자기 백성 이스라엘이 감당해야 할 선교적 사명이 아직 남아 있다. 그들의 사명이 “하나님의 은혜와 끊임없는 도움을 통해 완수”된다는 것은 유대인을 통해 열방을 축복하기 원하셨던 하나님의 의도가 성취되는 것이다. 이는 “미래”에 반드시 일어날 일이며, 그 일이 일어나기 위해 “현재” 이방인은 유대인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 하나님의 구원 시나리오는 “유대인의 불신, 이방인의 반응, 유대인의 질투 그리고 마침내 이방인 세계에 ‘죽음으로부터의 생명’을 가져다줄 유대인의 반응 순서”로 전개될 것이다. 이렇게 이방인과 유대인은 하나의 구원 경륜에 따라 각각의 역할을 하며 함께 하나님의 미래의 일부가 되어간다.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향해 나아간다.
_ 457p.